규도자 개발 블로그
나는 SPA가 모던웹의 새로운 정의라고 떠받들여지고 있는 이 시점에서 단호히 아니라고 대답할 수 있다. 이유가 뭐냐. 단순하다. 그냥 불편하다. SPA는 불편하다. 기존 수많은 get값으로 정의된 a태그들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사이트들과 SPA로 만들어진 사이트들을 비교해보면 알 것이다. 기존의 방식대로 이뤄진 사이트들은 각 링크마다 a태그와 주소가 함께 달려있고 브라우저는 이를 링크로 인식하여 오른쪽 클릭으로 해당 요소를 누르면 새 탭에서 열기 등의 부가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해당 페이지에 들어가면 이러저러한 get값과 texonomy를 통해 페이지가 구성돼있을텐데 이를 그냥 북마크에 저장해놓으면 언제든 다시 와서 해당 페이지를 조회할 수 있다. 하지만 SPA철학을 너무 철저하게 지켜 각 링크가 ..
내가 만든 PHPCronManager를 누가 써주다 심심해서 깃허브에 내 아이디인 jujumilk3를 써봤다. 다른 건 평소와 다를 바 없었는데 Wikis에 내 아이디가 하나 검색됐다. 난 위키를 작성한 적이 없을 뿐더러 심지어는 this-programmer라는 닉네임을 남겼겠지 jujumilk3이라는 내 아이디를 남길 일은 더더욱 없을텐데 하는 마음으로 들어가보니 웬걸 스페인의 망한듯 보이는 인터넷 보안회사의 the-fraud-explorer라는 프로젝트에 내 PHPCronManager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냥 너무 신기해서 벙쪘다. 무엇보다 궁금한 건 이걸 어떻게 알고 썼는가 하는 점이다. 끄흠... 아무튼 신기한 경험을 하여 기록을 남겨둔다. 만약 이런 이름모를 스페인 보안회사가 떠갔을 정도면 다른..
크롬 자바스크립트 버그 발견 후 리포트 완료 오늘 작업 도중 크롬에서만 발견되는 이상한 현상이 있어서 리포트를 했다. 예전에 자바스크립트의 버그를 발견한 줄 알고 설쳤던 그때와는 달리 명백하게 크롬에만 있는 버그였다. 무슨 버그인가 하면 크롬에서 자바스크립트로 작동시키는 정규식에 오류가 있다. 라이브로 내 깃허브 스태틱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이곳을 클릭하면 이동한다. 자세한 내용은 깃허브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스크린샷을 첨부하자면 이렇다. 같은 케이스임에도 불구하고 명백하게 크롬에서만 오류가 난다. 사파리, 파폭, IE, IE EDGE, 그리고 정규식 테스트 사이트 https://regex101.com/에서도 정상적인 작동이 된다. 그러니까 문제는 아래 정규식let emailRegex = ..
파이썬3.x[python3.x]에서 요소가 하나인 튜플을 문자열이 아닌 튜플로 인식시키기 i_wanna_be_tuple = ('really') print(i_wanna_be_tuple) print(type(i_wanna_be_tuple)) u_need_to_do_like_this = ('like this',) print(u_need_to_do_like_this) print(type(u_need_to_do_like_this)) 어제 부딪힌 문제였다. django로 작업을 하던 와중 django form을 이용해 입력란을 만들고 있었는데 modelform은 상속받은 model을 기반으로 해서 입력 form을 작성해준다. 하필 입력받을 form 요소가 딱 하나였는데 이를 tuple형태로 정의해야하는 지라 단순..
현재시간 2019년 7월 2일 22시 55분, 퇴근 후 롤 한게임 하려고 했는데 접속이 되지 않아 공식홈페이지에 들어가보니 502 bad gateway오류가 출력되면서 아래에 cloudflare라는 이름이 출력되더라. 아, 롤 클라이언트랑 사이트 모두 클라우드플레어를 쓰고 있었구나. 내 블로그에 등록해놓은 this-programmer.com으로 접속해도 같은 오류가 출력됐다. 도메인은 aws의 route53에서 샀지만 dns설정이 한 달에 몇 백원씩 요금이 붙어 거슬려서 cloudflare로 바꿨는데 이런 일이 생겼다. 현재 리그오브레전드 공식홈페이지 상황 동종업계 사람으로서 불편함보다는 걱정이 앞선다. 지금은 또 this-programmer.com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보아하니 몇 개의 dns서버가 맛탱..
리디렉션한 횟수가 너무 많습니다 가끔씩 뭔가 뚜렷한 전조증상 없이 이 에러가 뜨는 경우가 있는데 이유는 서버에서 링크이동이 반복해서 이뤄지게 됐을 때 브라우저가 임의로 이 에러를 일으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localhost라는 주소에 들어갔을 때 해당 웹페이지에 localhost/move로 리디렉션시키는 스크립트가 짜여져 있고, localhost/move라는 곳으로 이동했을 때 localhost로 다시 리디렉션시키는 스크립트가 있다면 이 오류가 뜨게 된다. 내가 이 오류를 만났을 땐 다음과 같은 상황이었다. django로 프로젝트를 제작하던 도중 로그인이 된 상태이거나 로그인을 성공하면 redirect_to라는 GET키값의 밸류값으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home으로 이동시켜야 했는데 request에 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