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2/08 (3)
규도자 개발 블로그
나의 퀀트 성적표, 그리고 차후 계획 예전에 이런 글들을 썼었다. 실패로부터 배우다 시리즈 그중에서도 6편이 싹다 예전에 퀀트를 하다가 실패했던 내용인데 사실 성공한 퀀트 전략도 있긴 하다. 굳이 저기에 내용을 추가하지 않은 이유는 애초에 저 시리즈가 실패를 다루는 이유이기도 하고, 실제 내가 굴리고 있는 시드가 작기 때문에 뭔가 괄목할만한 금전적 이득을 얻고 있지는 못하기 때문에 굳이 "성공"의 척도에 넣기는 조금 애매한 느낌이 있다. 그래서 성공보다는 성적표라는 이름으로 한번 올해 2월부터 6월까지 전반기동안 굴렸던 전략의 회전률과 수익률을 적어보려고 한다. 내가 사용하는 알고리즘은 장 변동성을 이용하는 전략이라 변동성이 클 때는 회전률도 좋고 수익률도 좋다. 리스크가 없지는 않지만 크지는 않다. 로..
긱뉴스에서 다뤘던 아티클이다. https://news.hada.io/topic?id=7085&utm_source=slack&utm_medium=bot&utm_campaign=T02VBL70FGV 간단한 자동화 기능을 제공해서 매월 백~천만원 버는 Micro SaaS들 | GeekNews QAPop: Quora에서 인기 질문을 찾아서 자신의 제품을 마케팅 해주는 툴BlackMagic: 트위터 배너를 실시간으로 바꿔줌EavesDrop: 온라인 커뮤니티를 모니터링해서 잠재 고객을 찾아줌DataFetcher: Airtable에 어 news.hada.io 위 주소로 들어가면 제대로된 기사를 볼 수 있다. 내가 특히나 이 기사를 좋아하는 이유는 여기에 진짜 비지니스 인사이트에 도움이 되는 것들이 있기 때문이다. 거..

요즘 가정이나 회사에서의 인터넷 환경은 보통 하나의 유무선 공유기를 통해서 여러대의 머신을 연결하는 형태이다. 그러다보니 해당 머신이 바깥으로 보내는 공용 ip가 무엇인지 알기 힘든 때가 있다. 당장 내 ip를 확인해봐도 공유기 내부에서 통신하기 위한 ip를 던져줄 뿐이다. 이건 터미널에서 ifconfig같은 명령어를 쳐봐도 마찬가지이다. 보통 그럴 땐 구글에 "내 ip"이런식으로 검색해서 퍼블릭 ip를 확인해서 입력하곤 한다. 하지만 역시 이런 불편함은 누군가 먼저 생각해놨고 해결해놨다. 대안은 바로 https://ipgrab.io/ 이 사이트이다. 접속하면 요청한 머신의 ip를 심플하게 한 줄의 텍스트로 반환해준다. 이게 왜 좋냐. 코드 내에서 파싱하기 좋다. import requests myi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