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도자 블로그
파이썬에서 따옴표를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 홑따옴표(')와 쌍따옴표(")와 쌍쌍쌍따옴표("""). 다른 인터프리터 언어인 php와 달리 세 개의 따옴표 모두 용도적인 차이점은 없다. nevertheless, 가독성을 위한 규칙은 있다. 1. 홑따옴표(') 홑따옴표는 보통 단어나 식별자를 지칭할 때 쓴다. 예를 들어 dict에서의 key값이라던가, 특정 값들을 조합해서 만드는 새로운 string이라던가. 2. 쌍따옴표(") 쌍따옴표는 보통 문장에 쓴다. 우리가 코딩을 맨 처음 시작할 때 항상 만나게 되는, "hello world"는 쌍따옴표가 어울리는 친구이다. 그리고 추가로 정규식을 정의할 때도 쓴다. 3. 쌍쌍쌍따옴표(""") 쌍쌍쌍따옴표는 보통 docstring, 그러니까 특정..
블로그에 갯수라는 말을 겁나게 많이 적어놨는데 개수가 맞댄다. 최솟값, 최댓값 할 때는 값이 순 한국어이기 때문에 한자어 + 한국어 해서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게 맞고 개수는 완전한자어이므로 사이시옷이 들어가면 안 된다. 지금 검색해보니 최댓값, 최대값, 최솟값, 최소값, 갯수, 개수... 다 완전 혼용해서 썼는데... 지금이라도 주의해야겠다.
[프로그래머스/Level2/파이썬3(python3)] 다음 큰 숫자 문제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n의 다음 큰 숫자는 다음과 같이 정의 합니다. 조건 1. n의 다음 큰 숫자는 n보다 큰 자연수 입니다. 조건 2. n의 다음 큰 숫자와 n은 2진수로 변환했을 때 1의 갯수가 같습니다. 조건 3. n의 다음 큰 숫자는 조건 1, 2를 만족하는 수 중 가장 작은 수 입니다. 예를 들어서 78(1001110)의 다음 큰 숫자는 83(1010011)입니다.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의 다음 큰 숫자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n은 1이상, 100000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nresult 78831523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1. 문제 예시와 ..
[프로그래머스/Level2/파이썬3(python3)] 순위 검색 문제 [본 문제는 정확성과 효율성 테스트 각각 점수가 있는 문제입니다.] 카카오는 하반기 경력 개발자 공개채용을 진행 중에 있으며 현재 지원서 접수와 코딩테스트가 종료되었습니다. 이번 채용에서 지원자는 지원서 작성 시 아래와 같이 4가지 항목을 반드시 선택하도록 하였습니다. 코딩테스트 참여 개발언어 항목에 cpp, java, python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지원 직군 항목에 backend와 frontend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지원 경력구분 항목에 junior와 senior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선호하는 소울푸드로 chicken과 pizza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인재영입팀에 근무하고 있는 니니즈는 코딩테스트 결..
[프로그래머스/Level2/파이썬3(python3)] n진수 게임 문제 튜브가 활동하는 코딩 동아리에서는 전통적으로 해오는 게임이 있다. 이 게임은 여러 사람이 둥글게 앉아서 숫자를 하나씩 차례대로 말하는 게임인데, 규칙은 다음과 같다. 숫자를 0부터 시작해서 차례대로 말한다. 첫 번째 사람은 0, 두 번째 사람은 1, … 열 번째 사람은 9를 말한다. 10 이상의 숫자부터는 한 자리씩 끊어서 말한다. 즉 열한 번째 사람은 10의 첫 자리인 1, 열두 번째 사람은 둘째 자리인 0을 말한다. 이렇게 게임을 진행할 경우, 0, 1, 2, 3, 4, 5, 6, 7, 8, 9, 1, 0, 1, 1, 1, 2, 1, 3, 1, 4, … 순으로 숫자를 말하면 된다. 한편 코딩 동아리 일원들은 컴퓨터를 다루는 사람답..
그렇다. 임내력... 인터넷에 쳐도 안나온다. 왜냐. 내가 만든말이니까 ㅋㅋㅋ 의미는 간단하다. 어떤 임계상태를 견디는 힘. 어떻게 보면 그냥 인내력이랑 똑같은 게 아닌가 하겠지만 약간 다른게 내 주변의 사람을 보고 이 개념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그사람은 인내력이 좋다. 맨날 힘들다 뭐한다 혼났다 하면서 회사를 오랫동안 잘 다닌다. 인내력이 참으로 대단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사람이 못견딘 게 있었다. 그게 바로 어떤 임계상태였고 그래서 내가 인내력과 임내력을 구분하게 된 계기가 됐다. 그사람은 이직을 준비하고 있었고 업계에서 화제가 될만큼 엄청나게 좋은 조건이 걸린 자리였다. 그사람도 역시 거기에 지원을 했고 열심히 준비하여 최종까지 갔다. 그때 그사람의 임내력에 한계가 온 것 같았다. 말만하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