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1/04/20 (2)
규도자 개발 블로그
원래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는 데이터베이스를 배울 때 가장 먼저 배우는 개념이다. 수학의 대부분이 해체해보면 결국 사칙연산인 것처럼 데이터베이스에서 일어나는 일도 결국엔 CRUD중 하나이다. 그리고 요즘의 프로그램들은 대부분이 결국 DB와 함께 돌아가기 때문에 이 CRUD를 프로그래밍과 결부시켜서 얘기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이 CRUD는 데이터베이스와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기본 개념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기본은 기본이다. 중요하긴 한데 이것만 해서는 개발자의 가치를 올릴 수 없다는 말이다. 예전에 어떤 글을 읽었는데 CRUD만 하다보면 개발자로서의 레벨업을 하기 힘들다는 얘기였나, 뭐 언제까지 CRUD만 하고 있을래! 이런 얘기였다. 쌍당히 공감되..

파이썬으로 여러 개의 웹소켓에 동시에 연결하기 토이프로젝트로 퀀트 프로그램을 하나 제작하고 있는데 맨 처음에는 각종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api를 사용할까 하다가 초당 요청제한이라는 문턱에 걸렸다. 수학모델에 근거해서 전략의 타당성을 검토해야 하는데 수백종류의 암호화폐 데이터를 1초에 한번씩 api로 요청해 저장하려고 하니 터무니 없는 생각이긴 했다. 그렇다고 1분을 쪼개서 요청을 보내자니 엄청난 변동성의 암호화폐시장에서의 수학모델 분석에는 적절하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웹소켓을 찾아보니 다행스럽게도 거의 모든 거래소에서 웹소켓을 지원하고 있더라. 만약에 다양한 플랫폼, 혹은 한 플랫폼에서도 다른 웹소켓 라우트에서 필요한 정보가 있으면 여러개의 웹소켓에 연결할 필요가 있다. 그럴 때 사용하기 좋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