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도자 개발 블로그
그놈의 RESTful API. 한 줄로 정의하자면 본문
그놈의 RESTful API. 한 줄로 정의하자면
RESTful API란 결국 이거다.
일정한 규칙으로 구성돼있는 API.
나도 처음에 RESTful API라는 말을 들었을 때 대체 이게 뭔지 수많은 문서들을 들여다 보았지만 뭔가 와닿는 게 없었다. 아무리 봐도 결국 RESTful API가 뭔데!!!!! 하는 되물음만 남았던 것 같다. 왜냐면 API라는 개념도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하고 있었으니까. RESTful API를 이해하기 위해선 API가 무엇인지부터 알 필요가 있다.
API는 풀어쓰자면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서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그렇다면 인터페이스는 뭐냐. 만들어진 어플리케이션의 복잡한 내부구성을 이해하지 않고도 조작할 수 있게 외부로 노출시키는 부분이다.
그렇다면 REST는 무엇의 약자이냐.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서 대표적인 상태 전송이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결국 RESTful API란 이렇게 재정의할 수 있다.
일정한 규칙으로 구성돼있는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여기에서 일정한 규칙이란 또 무엇이냐. 바로 RESTful API와 항상 함께 붙어다니는 6가지 제한조건이다. 거기에 대해선 https://meetup.toast.com/posts/92이곳을 참고하면 된다.
그러니까 중구난방으로 난장판이었던 API생테계에 일종의 "대표적인 규칙"을 정의하고 이 규칙을 따르는 API들을 REST한 API, 곧 RESTful API라고 명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활용하여 소위 "모던웹"들이라고 불리우는 Single Page Application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gument(인수)와 parameter(매개변수)의 차이 (0) | 2019.04.13 |
---|---|
Json Placeholder와 깃허브를 이용해 테스트용 무료 api서버 만들기 (0) | 2019.04.06 |
소스 재활용은 유일하게 엔트로피를 증가시키지 않는 재활용이다 (0) | 2019.01.16 |
프론트엔드에 node진영 라이브러리들의 도입을 고민하고 있다면 (0) | 2019.01.15 |
개발 및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많이 쓰는 디렉토리 이름 (0) | 2019.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