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거짓 (3)
규도자 개발 블로그
[JavaScript/자바스크립트] 1과 0, 혹은 '1'과 '0'을 boolean으로 전환하는 쉬운 방법 지금 여기에 쓰는 예제는 바로 개발자모드의 console창에서 입력해보며 실험해볼 수 있다. 물론 정수형인 0과 1은 별다른 작업 없이 true와 false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if(1) console.log("if passed");//if passed if(0) console.log("if passed");//undefined 이런식으로 말이다. 위 코드를 개발자모드 console창에 써보면 오른쪽의 주석과 같은 결과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더라도 굳이 0과 1이 아닌, boolean으로 표현해야할 때가 있다. 그럴 때 쓰기 좋은 방법이다. ..
PHP는 변수의 선언 여부를 체크하는 방법이 아주 많다. 내장 함수도 많을 뿐더러 ==나 ===까지. PHP가 코드뭉텅이라는 오명을 갖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한데 그만큼 true false를 검사하는 조건문을 뭘 써야할지 고민이 될 때가 있다. 그럴 때 참고하면 좋은 테이블이다. None은 변수가 선언되지 않은 상태이다. 위는 그림파일이고 $var = None Array() Null '' false 0 '0' ' ' 'text' true 1 '1' empty($var) O O O O O O O X X X X X is_null($var) O X O X X X X X X X X X isset($var) X O X O O O O O O O O O $var X X X X X X X O O O O O $var =..
전의 게시물에서도 밝혔다시피 이 게시물은 스티브 맥코넬이 쓴 CODE COMPLETE2에 나온 내용이며 다른 사람들에게도 변수 이름의 중요성과 그 이름을 정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그리고 나 자신도 필요할 때마다 참고하기 위해 쓴다는 것을 알린다. 불린 변수 이름 전형적인 불린 변수의 이름을 기억한다. 다음은 전형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는 변수의 이름이다. done : 무언가 수행되었다는 것을 가리키기 위해서 done을 사용한다. 이 변수는 반복문이 수행되었거나 다른 연산이 수행되었음을 가리킬 수 있다. 무언가가 처리되기 전에 done을 거짓으로 설정하고 완료되고 난 후 참으로 설정한다. error : 오류가 발생했음을 가리키기 위해서 error를 사용한다. 오류가 발생했을 때 이 변수를 참으로 설정하..